입학 질의 응답
전공 졸업후에 학생들은 주로 『어디로 취업』을 하나요?
				❶ 종합병원 및 대학병원 원무과, 총무과, 기획실 등에서 [의료행정직]으로 근무하거나 직업환경의학과, 직업환경의학센터, 건강증진센터 등에서 [의료기술직]으로 활동합니다. 
❷ 또한,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및 질병관리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보건직공무원으로 근무하거나, 국민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안전보건공단 등 공공기관 등에 보건직 분야로 취업하고 있습니다.
❸ 그리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NGO 등에서 국제보건활동가로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❷ 또한,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및 질병관리청,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보건직공무원으로 근무하거나, 국민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안전보건공단 등 공공기관 등에 보건직 분야로 취업하고 있습니다.
❸ 그리고 한국국제협력단(KOICA)과 NGO 등에서 국제보건활동가로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보건의료행정학과도 4년동안 『전액 장학금』이 지원되나요?
				네, 4년간 등록금 전액을 지원해드리고 있습니다. 다만 경산, 청도, 영덕지역소재 고교출신 학생으로 만 255세 미만이면 누구나 지원가능합니다.
또한 경산지역으로 주소지를 이전하는 학생에게도 100만원씩 총 4회 지원이 가능합니다.
		또한 경산지역으로 주소지를 이전하는 학생에게도 100만원씩 총 4회 지원이 가능합니다.
보건의료행정전공은 과거 보건관리전공과 동일한 전공인가요?
				네, 동일한 전공입니다. 올해 2022년부터 전공명을 보건의료행정전공으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전공을 지원하는 신입생들에게 우리 전공에서 공부하는 내용(병원행정과 보건행정)과 졸업 후 진로(병원행정가, 공중보건전문가, 산업보건전문가, 보건직공무원 등)를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보건관리전공으로부터 시작된 우리 전공은 역사가 40여년 이며, 그간 약 3,000여명 정도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습니다.
		보건관리전공으로부터 시작된 우리 전공은 역사가 40여년 이며, 그간 약 3,000여명 정도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습니다.
보건의료행정전공으로 취득할 수 있는 『자격증』은 무엇이 있나요?
				① 먼저 국가자격증인 보건교육사가 있습니다. 보건교육사는 개인 및 인구집단의 건강증진을 위한 예방활동과 교육활동을 합니다. 
❷ 또한 국가기술자격으로 산업위생관리기사 및 산업기사가 있습니다. 근로자가 300명 이상 되는 대기업에서는 의무적으로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을 보유한 보건관리자 채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보건관리자는 근로자의 직업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❸ 그리고 국가면허인 위생사가 있습니다. 위생사는 근로자 100인 이상의 영업에 있어서 위생관리업무, 전염병예방을 위한 소독대행자의 소독업무, 근로자 3000명 이상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있어서의 근로자의 보건관리업무 등을 수행합니다.
④ 국가공인민간자격증으로는 병원행정사, 건강보험사, 보험심사평가사, 병원코디네이트 등이 있습니다.
		❷ 또한 국가기술자격으로 산업위생관리기사 및 산업기사가 있습니다. 근로자가 300명 이상 되는 대기업에서는 의무적으로 산업위생관리기사 자격을 보유한 보건관리자 채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보건관리자는 근로자의 직업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❸ 그리고 국가면허인 위생사가 있습니다. 위생사는 근로자 100인 이상의 영업에 있어서 위생관리업무, 전염병예방을 위한 소독대행자의 소독업무, 근로자 3000명 이상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있어서의 근로자의 보건관리업무 등을 수행합니다.
④ 국가공인민간자격증으로는 병원행정사, 건강보험사, 보험심사평가사, 병원코디네이트 등이 있습니다.
2026년 수시 모집 인원과 전형을 알고 싶어요?
				2026년 수시는 총 25명을 모집합니다. 학생부교과 22명, 학생부교과 지역인재 3명, 학생부종합 2명입니다.			
		보건의료행정전공이 자연계열로 분류되어 있는데, 인문계열학생도 지원가능한가요?
				네, 물론 인문사회계열학생도 지원가능합니다.			
		신입생에게 기숙사가 제공되나요?
				신입생 전원에게 기숙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만 경산시와 대구시 거주 학생에게는 기숙사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구시 중 달서구, 서구, 북구 등 대구한의대와 먼 거리에서 통학하는 학생들에게는 기숙사가 제공됩니다.			
		